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생활정보46

절기(節氣) 24 절기(二十四節氣)는 태양의 황도상 위치를 기준으로 한 해를 24 등분하여 계절의 변화를 세밀하게 구분한 전통적인 역법(曆法) 체계이다. 이는 국에서 기원하여 한국, 일본, 베트남 등 동아시아 국가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었으며, 특히 농경 사회에서 계절에 따른 농사 일정과 ;일상생활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. 24 절기는 태양의 황경(黃經, 태양이 지나가는 길인 황도의 경도)을 기준으로 약 15도 간격으로 나누어 설정되었으며, 각 절기는 기후 변화와 자연 현상에 따라 특정한 의미를 지닌다. 크게 봄(春), 여름(夏), 가을(秋), 겨울(冬) 네 개의 계절로 구분되며, 각 계절은 다시 여섯 개의 절기로 나뉜다. 24 절기는 다시 절기(節氣)와 중기(中氣)로 나뉘는데, 홀수 번째 절기가 절기(예: 입.. 2025. 3. 11.
재미있는 고사성어 - 마이동풍(馬耳東風) 고사성어(故事成語)는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한다. '고사'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전근대의 중국에서 일어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, '성어'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가리킨다. 단어 길이는 네 글자가 가장 많지만 짧은 것은 두 자, 긴 것은 열두 자(예: 知命者不怨天知己者不怨人)나 된다. 속담과 용법이 같으나 언어적으로 그 형태는 다른데, 고사성어는 관용단어인 반면 속담은 관용문구다. 물론 고사성어가 한문에서는 문장이 되는 경우가 많으나, 한국어 안에서는 엄연히 하나의 고사성어 전체가 한 단어처럼 쓰이고 있다. 오늘은 '마이동풍'의 유래에 대해서 알아보자.  한문 그대로 해석📌마이동풍(馬耳東風 👉 馬: 말 마👉 耳: 귀 이👉 東: 동쪽 동👉風: 바람 풍📌 말의 귀에 .. 2025. 3. 10.
재미있는 고사성어 - 고육지책(苦肉之策) 고사성어(故事成語)는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한다. '고사'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전근대의 중국에서 일어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, '성어'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가리킨다. 단어 길이는 네 글자가 가장 많지만 짧은 것은 두 자, 긴 것은 열두 자(예: 知命者不怨天知己者不怨人)나 된다. 속담과 용법이 같으나 언어적으로 그 형태는 다른데, 고사성어는 관용단어인 반면 속담은 관용문구다. 물론 고사성어가 한문에서는 문장이 되는 경우가 많으나, 한국어 안에서는 엄연히 하나의 고사성어 전체가 한 단어처럼 쓰이고 있다. 오늘은 '고육지책'의 유래에 대해서 알아보자.  한문 그대로 해석📌 고육지책(苦肉之策 👉 苦(고): 괴롭다, 고통스럽다. 👉 肉(육): 살, 몸. 👉 之(지): .. 2025. 3. 9.
재미있는 고사성어 - 함흥차사(咸興差使) 고사성어(故事成語)는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한다. '고사'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전근대의 중국에서 일어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, '성어'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가리킨다. 단어 길이는 네 글자가 가장 많지만 짧은 것은 두 자, 긴 것은 열두 자(예: 知命者不怨天知己者不怨人)나 된다. 속담과 용법이 같으나 언어적으로 그 형태는 다른데, 고사성어는 관용단어인 반면 속담은 관용문구다. 물론 고사성어가 한문에서는 문장이 되는 경우가 많으나, 한국어 안에서는 엄연히 하나의 고사성어 전체가 한 단어처럼 쓰이고 있다. 오늘은 '함흥차사'의 유래에 대해서 알아보자.  한문 그대로 해석📌 함흥차사(咸興差使)👉 咸興(함흥) : 조선 시대의 지명으로, 현재 북한 함경남도의 함흥 지역을 의.. 2025. 3. 9.
재미있는 고사성어 - 명불허전(名不虛傳) 고사성어(故事成語)는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한다. '고사'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전근대의 중국에서 일어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, '성어'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가리킨다. 단어 길이는 네 글자가 가장 많지만 짧은 것은 두 자, 긴 것은 열두 자(예: 知命者不怨天知己者不怨人)나 된다. 속담과 용법이 같으나 언어적으로 그 형태는 다른데, 고사성어는 관용단어인 반면 속담은 관용문구다. 물론 고사성어가 한문에서는 문장이 되는 경우가 많으나, 한국어 안에서는 엄연히 하나의 고사성어 전체가 한 단어처럼 쓰이고 있다. 오늘은 '명불허전'의 유래에 대해서 알아보자.   한문 그대로 해석📌 명불허전(名不虛傳) 👉 名(명) : 이름, 명성 👉 不(불) : 아니다, 부정 👉 虛(허) .. 2025. 3. 9.
재미있는 고사성어 - 금상첨화(錦上添花 고사성어(故事成語)는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한다. '고사'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전근대의 중국에서 일어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, '성어'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가리킨다. 단어 길이는 네 글자가 가장 많지만 짧은 것은 두 자, 긴 것은 열두 자(예: 知命者不怨天知己者不怨人)나 된다. 속담과 용법이 같으나 언어적으로 그 형태는 다른데, 고사성어는 관용단어인 반면 속담은 관용문구다. 물론 고사성어가 한문에서는 문장이 되는 경우가 많으나, 한국어 안에서는 엄연히 하나의 고사성어 전체가 한 단어처럼 쓰이고 있다. 오늘은 '새옹지마'의 유래에 대해서 알아보자.  한문 그대로 해석📌 새옹지마(塞翁之馬) 👉 塞(새) : 변방, 변두리 👉 翁(옹) : 노인 👉 之(지) : ~의 .. 2025. 3. 9.
반응형